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8

임신 중에 약 먹어도 될까? 소화제, 진통제, 감기약 한눈에 알아보기 임신인 줄 모르고 약을 복용했어요 임신 가능성을 모르고 약을 먹고 있었을 경우 많은 걱정이 되며 검색을 했을 겁니다. 하지만 지금 임신 초기를 안정적으로 보내고 있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난자가 약의 영향을 받았을 경우 수정 능력이 없어지거나 수정이 되어도 착상이 안 되고, 착상되더라도 바로 유산되기 때문이죠. 그러나 항암제, 통풍 치료제 코르친, 피부병 치료제 차가손 등을 사용했을 경우 임신이 되었더라도 추후에 태아에게 악영향을 미치므로 전문의와 자세한 상담과 진단이 필요해요. 임신 중에 약 먹어도 될까요? 몸이 너무 아파서 약 한 알 정도 먹는 것은 괜찮겠지만, 장기간 먹는 것은 위험할 수 있어요. 임신부에게 절대 안전한 약은 없습니다. 하지만 약을 먹었다고 해서 모두 기형아를 낳는 것은 .. 2022. 6. 9.
임산부 탄산음료 마셔도 되나요? 양수란? 양수는 자궁강을 채우는 액체로, 모체의 혈액 성분인 혈장의 일부가 양수로 만들어진다. 얇음 막으로 구성된 양막에 태아가 둘러싸여 있고, 양막 안에는 양수가 차 있으며 태아는 양수 속에 떠서 자라게 된다. 태아의 몸속으로 양수가 흡수되기도 하고, 태아의 피부 기공을 통해 체액이 배어 나와 새로운 양수를 만들기도 한다. 태아가 16주기가 지나면 피부 기공이 없어져서 양수가 피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이때부터는 태아의 소변이 양수의 주 공급원이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임신 초기에는 무색이지만 분만할 때쯤 되면 태아의 피부에서 박리되는 상피세포, 솜털, 소변 등이 섞여 탁해지며 흰색 또는 노란색을 띠게 된다. 양수에는 태아의 성장에 관여하는 빌리루빈, 레시틴, 등이 녹아 있다. 색이나 냄새가 거의 없.. 2022. 6. 8.
불규칙한 생리 임신 테스트 극초기 증상 임신하면 호르몬의 변화로 몸에 신호가 나타난다. 배란기가 되면 난소의 황체에서 난자가 떠나는데, 이때 황체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을 황체호르몬 즉, 프로게스테론이라고 한다. 이 호르몬은 자궁내막의 증식을 의도하여 수정란 착상을 도와 임신이 잘 될 수 있는 몸 상태로 만든다. 월경이 멈춘다 황체에서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여 자궁 속 막이 탈락하는 현상이 월경이다. 수정이 진행되면 자궁벽에 배아 세포가 착상하면서 프로게스테론이 생성되므로 생리가 중단된다. 생리 주기가 일정한 경우 예정일보다 일주일 이상 늦어지면 임신을 의심해볼 수 있다. 생리는 스트레스와 자궁 또는 난소의 이상, 내분비 기능 저하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도 중단될 수 있으므로 다른 신호들이 함께 나타나는지 봐야 하며, 주기가 불규칙 한 사람은 임신.. 2022. 6. 7.
반응형